제조로봇 선도보급 실증사업

사업개요

배경 및 필요성

고위험, 고강도 등 작업환경이 열악한 3대 제조현장(뿌리, 섬유, 식음료)에서 로봇활용도가 낮아 업종별·공정별 수요기업 맞춤형 표준공정모델 요구(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, ‘19. 8월)

* 업종(로봇 보급대수/로봇밀도) : 자동차(87,417/2,235) vs 뿌리(4,112/84)

사업목적

로봇도입이 용이하고 도입효과가 높은 공정을 중심으로 공정모델을 개발하고 시장정착 지원으로 제조로봇 도입 효과성 증대

* 제3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에 따라 시장창출형 로봇보급사업('12~'19)의 후속으로 '20년부터 지원 중

추진절차/체계

업종별 전문硏과 연계한 제조로봇혁신지원단을 구성하여 로봇활용 공정모델을 개발하고, 전문硏을 주체로 수요기업을 발굴하여 로봇도입, 컨설팅 등을 패키지형으로 지원

6대 수요산업 전문연으로 구성된 제조로봇 혁신지원단 구성 - 제조로봇 혁신지원담이 공정모델을 개발 - 전문연과 사용자협회의 주체로 수요기업을 발굴하여 컨설팅 및 작업장 안정인증 실시 - 전문연과 수요기업과 로봇SI기업의 협업으로 제조로봇 선도보급 - 로봇진흥원이 수요기업을 대상으로 사용자교육지원 6대 수요산업 전문연으로 구성된 제조로봇 혁신지원단 구성 - 제조로봇 혁신지원담이 공정모델을 개발 - 전문연과 사용자협회의 주체로 수요기업을 발굴하여 컨설팅 및 작업장 안정인증 실시 - 전문연과 수요기업과 로봇SI기업의 협업으로 제조로봇 선도보급 - 로봇진흥원이 수요기업을 대상으로 사용자교육지원 6대 수요산업 전문연으로 구성된 제조로봇 혁신지원단 구성 - 제조로봇 혁신지원담이 공정모델을 개발 - 전문연과 사용자협회의 주체로 수요기업을 발굴하여 컨설팅 및 작업장 안정인증 실시 - 전문연과 수요기업과 로봇SI기업의 협업으로 제조로봇 선도보급 - 로봇진흥원이 수요기업을 대상으로 사용자교육지원

세부 추진내용 요약
제조로봇 선도보급 실증사업 세부 추진내용을, 공정모델개발, 컨설팅, 작업장 안전인증, 공정모델 실증, 로봇 활용인력 교육지원으로 구분하여 추진내용과 추진주체 정보를 제공합니다.
구분 추진내용 추진주체
① 공정모델개발 로봇 활용이 시급한 6大 업종(뿌리, 자동차, 전기전자, 기계, 섬유, 식음료) 중심으로 공정모델개발
*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연계 추진
제조로봇혁신지원단
(수요산업 6대 전문硏)
② 컨설팅 컨설팅협의체*를 구성하여 旣 개발된 공정모델 기반으로 공정진단, 로봇 활용방안 컨설팅
* 업종별 전문연, 로봇제조사, 로봇 SI기업 등
컨설팅협의체 ⇨ 수요기업
③ 작업장 안전인증 로봇도입 기업 대상 작업장 안전인증 지원
* 제조로봇 旣도입 기업 중 작업장 안전인증 미획득 기업 포함(협동로봇 500대 지원)
로봇사용자협회 ⇨ 수요기업
④ 공정모델 실증 제조용 로봇 도입 비용 지원(로봇구입비 등) 전문硏 ⇨ 수요기업
⑤ 로봇 활용인력 교육 지원 표준모델 도입 기업들의 활용인력 교육 지원
* 도입전(입문·기초교육), 도입후(실습·실무교육)
로봇진흥원 ⇨ 수요기업

세부 과제별 추진 내용

제조로봇 선도보급 실증
작업장 안전인증

협동로봇 작업장 안전인증 미획득 및 선도보급 기업 대상으로 작업장 안전인증 지원 및 심사원 양성

로봇활용 인력 교육 지원
시장주도형 제조로봇 리스·렌탈 지원사업

제조로봇 리스·렌탈 시장의 초기 수요 ·공급 창출을 위해 수요사(제조로봇 도입기업)의 "리스·렌탈상품 사용료" 지원

  • 전화번호 : 053-210-957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