(사업목적) 서비스 분야별 실증을 통한 수요 맞춤형 로봇 솔루션을 제시하고, 안전성·효과성 등을 검증하는 문제해결형 보급 모델 마련
(추진방향) BM 기획(1단계), 개조개량·검증 지원(2단계), 실증·보급을 지원(3단계)하는 3단계 사업으로 기획하여, 5년간 2회 운영
* 3차년도부터 시장 확산을 감안하여 2개년 추가 운영하고, 1단계 사업 신규 모집
(추진전략) 상용화 시기, 규제 개선의 시급성 등을 반영한 실증·보급 추진을 통해 분야별 안전기준 등을 마련하고, 규제 정비 연계
* “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(‘20.10, 국무총리 보고)” 내 반영된 과제 상 기준 마련 및 규제 개선이 시급한 분야를 우선 실행
구분 | 세부로봇 분야 | 관련 규제 이슈 | |
---|---|---|---|
산업 | 제조 |
▷ 협동로봇 ▷ 모바일 협동로봇 ▷ 물류창고로봇 (무인지게차 등) |
서비스 작업장 활용 시 내 안전인증 기준 부재 안전 인증 및 분류 기준 부재 |
건설 |
▷ 웨어러블 로봇 ▷ 건설로봇 (원격점검 로봇) |
효과성 입증 필요(근골격계 질환) 안전 인증 및 분류 기준 부재 |
|
농업 | ▷ 농업용 로봇(스마트팜) | 신기술 적용 농업기계 시험 기준 부재 | |
상업 | 배달 |
▷ 실내 이송 ▷ 실외 배달 |
승강기 탑승을 위한 부품기준 부재 안전 인증 기준 부재 도로별 주행 기준 부재 |
주차 |
▷ 주차로봇 ▷ 전기차 로봇 |
운행관리 및 안전 기준 부재 | |
푸드 | ▷ 로봇활용 음식점 | 안전관리 기준 및 가이드 부재 | |
수중 | ▷ 수중청소 로봇 | 허가 및 안전기준 부재 | |
의료 | 재활 |
▷ 재활로봇 ▷ 원격의료/검진 로봇 |
임상 유효성 검증 필요 비대면 의료 구제 |
돌봄 | ▷ 돌봄로봇(반려, 배변케어 등) | 보조기기 품목 지정을 위한 안전성·효과성 | |
공공 | 방역 | ▷ 소독/방역 로봇 | 안전 기준 부재 |
안전 |
▷ 소방로봇 ▷ 경찰/순찰 로봇 |
안전 기준 부재(KFI인정) 안전 기준 및 관리 규정 부재 |
|
기타 | 빌딩 |
▷ 안내/키오스크 로봇 ▷ 전문청소 로봇 |
안전 기준 부재 |
교육 |
▷ 교육용 로봇 ▷ 소셜로봇/스마트 홈 |
개인정보 보안 가이드 부재 |
(사업내용) 수요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솔루션 제안 기반 서비스 로봇 활용모델개발 및 보급(’21~‘25년)
서비스업계와 로봇업계 공동으로 로봇 활용모델을 발굴하고, 로봇·표준·제도 등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전문위원회에서 총괄 검토
규제로 인해 보유 로봇 서비스의 실증·사업화가 곤란할 경우 규제 샌드박스 제도 적용 병행(로봇규제혁신지원센터 지원)
구분 | 1단계 | 2단계 | 3단계 |
---|---|---|---|
지원 대상 | 공급기업 및 수요기관 간 컨소시엄 | ||
주관 기관 | 공급기업(로봇기업, SI기업 등) | 수요기관 | |
지원 기간 | 2021.04 ~ 2022.11 *연차별 협약 예정 |
협약일로부터 1년 (단년 협약) |
|
지원 규모 | 과제당 최대 1억원 (총 22억원) |
과제당 최대 3억원 (총 72억원) |
과제당 최대 10억원 (총 260억원) |
지원 조건 | 총 사업비 100% 국비 지원 |
총 사업비의 70% 이내 국비 지원 (민간부담금 30% 이상) |
|
지원 내용 | 서비스 로봇 기술·서비스 실증, 규제 개선, 사업화 등을 위한 "상세계획 및 설계비" 지원 |
로봇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개조개량 비용(시제품 제작 등)과 이를 검증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(안정성·효과성) |
로봇 서비스 실증 및 사업화를 위한 제반 비용 |
* 총 지원규모의 경우 정부예산(안)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
신청자격
(공통) 로봇기업(주관기관)ㆍ수요처(참여기관) 간 컨소시엄
(주관기관) 로봇 개조·개량 및 활용모델 기획이 가능한 기업(로봇/SI)
(참여기관) 서비스 로봇 실증 및 도입이 가능한 1개 이상 수요처 등
* B2C 대상 개인 서비스 로봇의 경우에도 수요처 역할이 가능한 기관으로 구성 必과제 선정절차
과제 수행절차
한국로봇산업진흥원 혁신지원사업단 서비스로봇혁신팀
구분 | 담당자 | 이메일 | 내선번호 |
---|---|---|---|
상업, 의료, 규제 | 정지혜 선임 | jh1013@kiria.org | 053-210-9664 |
산업, 공공, 기타 | 류주리 선임 | juri1219@kiria.org | 053-210-9668 |